-
일반물리학(Ⅰ) (General Physics(Ⅰ)) 1-1 3
벡터, 운동의 법칙, 일, 에너지, 운동량, 충돌, 회전운동, 진동, 파동 등 뉴튼 역학의 기초를 다룬다.
-
일반화학(Ⅰ) (General Chemistry(Ⅰ)) 1-1 3
화학의 기초적인 개념 및 전문용어를 가르친다. 물질의 구성, 성질, 그리고 구조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법칙들을 다룬다. 언급될 주제들로는 화학량론 (stoichiometry), 기체의 법칙, 주기율표, 원자와 분자의 기본 구조, 화학성질에 있어서의 원자가 전자의 역할, 산-염기의 개념, 산화-환원 반응 등이 있다.
-
공학미적분학 (Calculus in Engineering) 1-1 3
함수와 극한, 도함수와 상미분 편미분법, 수열과 급수, 좌표공간, 좌표계, 다변수 벡터 함수, 선적분, 다중적분, 곡선과 곡률 등을 다루게 된다.
-
일반물리학(Ⅱ) (General Physics(Ⅱ)) 1-2 3
나노과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의 영역들을 학습하게 된다. 나노과학 분야를 크게 소재, 관측, 응용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며 소재 분야에 있어서는 물리적 소재의 합성 방법과 다양한 박막 및 나노 관련 장비를 소개한다. 관측 분야에 있어서는 표면분석 기술과 조성분석 기술에 관련한 기반을 학습하며 응용 측면에서는 물리분야와 관련된 응용의 기초를 배울 것이다.
-
일반화학(Ⅱ) (General Chemistry (Ⅱ)) 1-2 3
일반화학(I)에 이어서 화학의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개념들과 용어들을 가르친다. 물질의 구성, 성질, 그리고 구조를 결정하는 기본법칙들을 다룬다.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생화학 등 화학의 일반적인 분야들에 대한 개요와 함께 이들 분야와 나노기술과의 연계성이 강조될 것이다. 화학 동력학과 평형, 산-염기, 전기화학, 전이금속과 배위화학, 유기 및 생화학 개론 등의 주제가 다루어진다.
-
공학수학(Ⅰ) (Engineering Mathematics(Ⅰ)) 1-2 3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의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상미분방정식의 해를 연산자 방법으로 구하는 방법과 라플라스 변환 등을 공부한다.
-
나노융합전공실험(Ⅰ) (Hands-on-Experiment on Nano Convergence Major (Ⅰ)) 1-1 3
물리/화학 기반 기초과학과 기계/전기·전자/재료/에너지 기반 응용기술을 바탕으로 태양전지, 이차전지, 센서, 반도체 제조 공정 등에 관한 다양한 첨단나노융합기술 분야의 기초 이론을 교육하고, 첨단나노융합기술분야 중에서 특정한 주제 (예. 마이크로 온도센서 제작 실험, 태양광 구동 슈퍼카 설계 및 제작 실험, 리륨이온전지 셀 제작 및 성능 실험, 나노구조체 및 반도체 소자 제작 실험 등)를 가지고 구체적 실험실습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무학과 학생들이 다양한 첨단나노융합기술 전공분야들에 대해 지식 및 정보를 얻고 전공탐색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전공을 자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나노융합전공실험(Ⅱ) (Hands-on-Experiment on Nano Convergence Major (Ⅱ)) 1-2 3
물리/화학 기반 기초과학과 기계/전기·전자/재료/에너지 기반 응용기술을 바탕으로 수소연료전지, 인공지능 기반 에너지 소재, 광기술, 반도체 검사 공정 등에 관한 다양한 첨단나노융합기술 분야의 기초 이론을 교육하고, 첨단나노융합기술분야 중에서 특정한 주제 (예. 수소연료전지 구동 로봇 설계 및 제작 실험, 인공지능 기반 에너지 소재 탐색 실험, 광 리소그래피 기반 반도체 공정 실험, 라이다 기반 3차원 영상화 실험 등)를 가지고 구체적 실험실습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무학과 학생들이 다양한 첨단나노융합기술 전공분야들에 대해 지식 및 정보를 얻고 전공탐색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전공을 자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공학수학(Ⅱ) (Engineering Mathematics(Ⅱ)) 2-1 3
퓨리에 급수와 변환 및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행렬, 벡터 그리고 복소함수의 기본적인 개념과 성질을 이해한 후에 그것을 나노메카트로닉스 공학의 여러 가지 문제에 관련시켜 적용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
태양광소자(PHOTOVOLTAIC DEVICES) 0-0 3
신재생에너지원중의 하나인 다양한 태양광 소재 및 소자들의 기초이론 및 작동원리를 교육하고, 학생들에게 현재 태양전지 산업화 현황 및 응용사례 등을 접하게 하여 실질적인 태양광 소재 및 소자의 필요성 및 적용기술에 대해 파악하도록 하며, 태양광소자의 최신 연구동향 및 발전전망 등을 함께 논의한다.
-
열유체공학(THERMAL FLUID ENGINEERING) 0-0 3
유체역학 및 열전달 기본지식을 설명하고 마이크로/나노스케일에서의 유체유동현상과 전도, 대류, 복사 열전달 현상 및 관련된 응용사례와 미래기술 등을 강의, 비디오, 최신논문, 참고문헌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접하게 함으로써 공학적 사고력을 길러 공학도로서의 창의적 능력을 배양하게 한다.
-
에너지유기소재(ORGANIC ENERGY MATERIALS) 0-0 3
에너지응용 기술에 사용되고 있는 유기소재에 대해 강의한다. 주로 유기/고분자 소재의 합성법 및 기본 물성과 같은 기초이론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 유기화학, 고분자화학의 기본적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응용분야에 대해 알아본다.
-
에너지저장시스템공학(ENERGY STORAGE SYSTEM ENGINEERING) 0-0 3
본 과목에서는 산업에서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 및 이와 연계된 전력 평준화용이나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개념 이해 및 전기화학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소재 및 제작 공정 등 응용 분야에 대해 강의한다.
-
이차전지안전공학(BATTERY SAFETY ENGINEERING) 0-0 3
이차전지 소재, 소자 및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화, 연소, 폭발, 화재 등의 원인과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이차전지 안전성 시험(예. 외부단락, 충돌, 압착, 침수, 고온변형, 과충전, 강제방전, 관통시험 등) 을 통해 위험요인들을 확인 및 분석하여 위험관리 및 안전사고 방지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센서공학(SENSOR ENGINEERING) 0-0 3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의 구조 및 작동특성을 이해하고, 에너지 소자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멀티스케일의 물질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열적, 광학적 특성들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소자 및 시스템에 대해 강의한다.
-
제어공학(CONTROL ENGINEERING) 0-0 3
본 과목에서는 신호와 시스템의 기본적인 개념 학습을 바탕으로 제어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해석 기법 및 시스템 성능과 안정도 판별법에 대해 공부하고, 시간영역 해석 및 근궤적법의 이해를 통해 선형제어기 (PD, PI, PID) 설계의 기초를 학습한다.
-
캡스톤디자인(I)(CAPSTONE DESIGN (I)) 0-0 2
나노분야의 특정과제를 선정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론적인 해석 및 설계, 제작, 평가를 통한 전반적인 공학과정을 학습한다.
-
캡스톤디자인(II)(CAPSTONE DESIGN (II)) 0-0 2
각 교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첨단 연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직접 참여하여 창의적 실험을 설계하는 법을 배운다.
-
박막공학(THIN FILM ENGINEERING) 0-0 3
진공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 원리 및 박막 형성 메커니즘, 박막의 다양한 물성에 대해 공부한다.
-
MEMS설계(MEMS DESIGN) 0-0 3
마이크로/나노 스케일의 기기 및 시스템은 기존 매크로한 시스템과는 차별화된 설계기법이 요구된다. 특히 이러한 마이크로/나노 스케일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설계/결합하여 제작된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본 교과목은 마이크로/나노시스템 설계를 위한 공정개론 및 시스템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공학적 모델링, 디자인 규칙, 제작공정에 대해 살펴본다.
-
에너지소재및소자실험(I)(ENERGY MATERIALS AND DEVICES LAB(I)) 0-0 3
나노에너지 소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무기 및 바이오 나노 물질을 합성하고 그 물질의 특성을 다양한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나노 물질의 특이한 특성을 이해한다.
-
에너지소재및소자실험(II)(ENERGY MATERIALS AND DEVICES LAB(II))
나노물질의 특이성을 태양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압전소자 등에 응용함으로써 에너지 소재의 제조 및 응용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
생산제조공학(MANUFACTURING PROCESS FOR ENGINEERING)
공업재료 관련 가공이론 및 가공공정에 대한 광범위한 학습을 수행한다. 재료의 기계적 성질 및 가공특성, 표면 특성 등의 기초적인 지식과 주조, 성형공정, 절삭,연삭가공, 특수 가공 등 가공공정의 전반적인 지식을 강의한다.
-
에너지소자시스템공정(ENERGY DEVICE/SYSTEM PROCESS)
단위 또는 대면적 에너지 소자/시스템 제작을 위한 다양한 공정 및 공정장비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면적 공정 설계를 위한 기본 지식에 대한 내용을 강의한다.
-
에너지생물학(ENERGY BIOLOGY)
에너지 및 나노공학 분야와 융합하고 있는 생물학의 기본적인 개요와 특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미래융합기술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
에너지시스템실험(II)(BASIC EXPERIMENTS ON ENERGY SYSTEMS (II))
유무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에너지 생산/저장형 소형 센서 및 구동기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에너지소자시스템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현장감을 고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식을 함양한다.
-
에너지바이오소재(ENERGY BIOMATERIALS)
본 과목에서는 에너지 소재로 활용된 바이오소재의 특징과 그것을 활용한 에너지 디바이스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특히, 바이오 물질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그룹과 외부 전하들을 활용하여 압전 소자에 응용 되는 원리에 대해 깊이 다루고 바이오 연료 전지와, 바이오 물질이 기능화된 태양전지 및 OLED에 대해 강의하고자 한다.
-
에너지첨단소재응용기술(APPLICATIONS OF ADVANCED ENERGY MATERIALS)
산업체의 신흥 에너지 관련 소재 및 소자 또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기술의 첨단소재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신기술을 설계, 발표함으로써 창의적 문제 도출/발표능력 함양을 기대한다.
-
이차전지셀제조공학(BATTERY CELL PRODUCTION ENGINEERING)
리튬이온전지 셀 제조공정에 특화된 과목으로 개선하여 극판 (슬러리믹싱, 코팅, 건조, 압연, 슬리팅), 조립 (권취, 스태킹, 웰딩, 포밍, 실링, 주액), 화성평가 (용량선별, 에이징, 안전성) 등 각 공정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학습
-
지속가능성과신소재설계(SUSTAINABILITY AND MATERIALS DESIGN)
본 과목에서는 최근의 환경오염 및 기후 변화로 인해 대두되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위해 어떠한 미래 기술들이 개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 소재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소재의 설계, 개발 및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차전지종합설계(BATTERY CAPSTONE DESIGN)
이차전지 극판, 조립, 화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한 학기동안 팀티칭 방식으로 개별 전공 교수의 연구실에서 이차전지 공정에 대한 문제해결 프로젝트 진행
-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공유결합의 특징, 탄소화합물의 구조, 산-염기이론, 유기입체화학 등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 유기반응 메커니즘에 관한 지식의 습득 및 실제 유기 반응들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생물계 및 각종 산업적 응용 등에 관한 기초 지식들을 익힘.
-
현대물리(MODERN PHYSICS)
현대물리학적 관점으로 물질세계를 탐구하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나노과학기술 분야의 기초확립을 위해 원자, 분자 수준에 대해 이해하고 해석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나노FABRICATION(NANO FABRICATION)
나노 구조를 가공하기 위한 기본공정 이론 함양을 위하여, 광학 리소그래피 기술과 제약, 광학 리소그래피 관련 마스크 제작, 감광제 물성 및 식각에 대한 이론 및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전자빔 및 이온빔 리소그래피와 최근에 유망하게 대두되는 나노공정인 나노임프린트 공정과 SPL 공정, LIGA 및 Micromachining 등 나노소자의 공정 일반을 강의
-
신호및시스템(SIGNALS AND SYSTEMS)
신호와 시스템의 개념과 급수 및 푸리에 변환, z 변환 등의 신호처리 방식의 이론 정립
-
물리화학(PHYSICAL CHEMISTRY)
나노 크기 수준의 물질에서 벌어지는 특이한 현상의 원리와 물성 관찰을 위한 방법에 대한 이해를 위한 과목이다. 물리화학 중에서도 양자화학, 분광학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
바이오재료공학(BIOMATERIALS ENGINEERING)
나노바이오재료는 이식이나 삽입 등을 통해 살아있는 생체의 조직과 장기에 접촉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일컫는데, 특히 조직공학, 약물전달, 진단(바이오이미징) 및 치료 등에 필수적인 공학적 재료로서 생화학적 인자나 생리활성 물질과 기능성 나노물질의 유기적인 조합을 통해 세포 미세환경 조절, 세포외 기질 재구성 및 조직 재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또한 3차원적 세포배양을 위한 지지체를 구성하여 신체 각 부위의 불가역적 손상이나 질병에 대한 대체 시술과 같은 재생의학 분야에 활용되며 본 강의를 통해 이와 관련한 기본 개념, 원리 및 응용 분야에 대하여 배우게 된다.
-
박막공학(THIN FILM ENGINEERING)
현대 반도체 전기소자, MEMS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형성 기술의 개요, 형성된 박막의 구조 분석 및 물리, 화학, 기계적 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박막공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
빛과전자기현상(LIGHT AND ELECTROMAGNETISM)
극성을 지닌 물질과 빛과의 전기적,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전자기학은 맥스웰의 4가지 방정식으로 요약되며 매질 내 전자기파 파동방정식으로 압축된다. 이를 통해 가시광선뿐 아니라 통신전파,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영역에 반응하는 물질의 광특성과 현대 사회의 광통신기술과 첨단 광전자소자 동작의 기본원리를 전자기현상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
파동광학실험(WAVE OPTICS LAB)
흡수, 반사, 굴절, 편광, 형광현상에 대한 실험분석을 통해 물질과 전자기파의 상호작용 이론을 실제적으로 적용해 보고, 빛의 속력 측정, 렌즈법칙, 스펙트럼 분석, 간섭, 회절실험을 통해 핵심적 광물리기술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광전자소자 동작의 기본원리를 광학과 전자기 융합지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
광NEMS(OPTICAL NEMS)
나노 시스템의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체, 유체, 열, 전자기 및 광학 측면에서 기초 지식을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N/MEMS의 응용분야의 소개 및 N/MEMS의 실질적 구현을 위하여 OpticalN/MEMS Design 및 실용화에 필요한 이론을 강의
-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재생의료 분야는 미래유망 산업의 하나로 예측되고 있으며 국가 간 경쟁 또한 치열한 영역으로서 그 중 핵심이 되는 생체조직공학은 전통적인 생명과학, 의학 및 공학의 기본 개념과 기술을 통합ㆍ응용하는 학문 분야이면서 첨단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발전 속도가 빠르므로 이와 관련한 세포시트공학, 줄기세포, 세포치료제, 나노의학, 인공장기 등과 같은 다학제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
-
반도체공정실험(I)(SEMICONDUCTOR FABRICATION LAB(I))
다양한 나노 기능 소재의 합성 및 분석에 관한 기초 실험 기법을 배운다.
-
광계측실험(OPTICAL MEASUREMENT LAB)
다양한 바이오 소재의 합성과 분석 및 세포와의 상호 작용 관찰에 관한 기초 및 응용 실험 기법을 배운다.
-
분자의학개론(INTRODUCTION TO MOLECULAR MEDICINE)
질병을 이해하기 위한 유전체, 세포신호 경로등이 설명되고, 그리고 이들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원리를 배우게 된다.
-
반도체공정실험(II)(SEMICONDUCTOR FABRICATION LAB(II))
나노 소자 및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나노 구조의 현상을 배운 지식을 청정 실험실내 공정 가공 과정에 참여하는 실험실습을 실시한다.
-
전자계측및실험(ELECTRONIC MEASUREMENT AND LAB)
전자회로외 개론 및 OP-amp의 활용, 주파수영역의 시스템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간응답을 이용한 다수의 서브시스템의 표현, 과도상태와 안정상태 분석과 시스템 설계 방식에 대한 지식을 배워 인체 신호의 계측 및 다수의 서브시스템의 표현, 과도상태와 안정상태 분석과 시스템 설계를 실험으로 구현한다.
-
반도체물리(SEMICONDUCTOR PHYSICS)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나노과학기술을 이용한 재료분야의 응용방향 및 적용분야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일반적인 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나노구조체 제작원리, 나노재료를 이용한 소자제작공정, 나노가공기술 그리고 나노바이오기술 등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 및 전반적인 광범위한 응용을 학습한다.
-
기하광학(GEOMETRIC OPTICS)
빛의 직진성에 기반한 반사, 굴절, 분산 등의 전반적인 광학현상을 이해한다. 다양한 광학계에서 나타나는 빛의 진행 경로와 상맺힘을 도식적/수식적으로 풀이한다.
-
제어공학(CONTROL ENGINEERING)
전자회로외 개론 및 OP-amp의 활용, 주파수영역의 시스템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간응답을 이용한 다수의 서브시스템의 표현, 과도상태와 안정상태 분석과 시스템 설계 방식에 대한 지식을 배운다.
-
의료기기공학(MEDICAL DEVICE ENGINEERING)
의료기기란 생체 내/외에서의 화학작용 또는 신진대사에 의해 본래 의도하는 목적 이외의 어느 하나라도 달성되는 것이 아닌 의료용 제품으로서 인체를 대상으로 질병의 진단ㆍ치료ㆍ경감ㆍ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에 사용하는 것과 인체의 구조ㆍ기능에 영향을 주기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ㆍ기계ㆍ장치로 규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료기기의 개발을 위해서는 생체 내 환경의 특성 및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방법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
파동광학(WAVE OPTICS)
진동, 결합진동, 퓨리에 변환, 결맞음성 분석과 같은 일반적 파동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간섭, 회절과 같은 빛의 파동적 광학현상을 전자기파 이론를 통해 모형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통해 분광기, 광메모리, 광스위치, 광이미지 같은 정밀 광기술속에 내재된 파동광학 이론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알게된다.
-
무기화학(INORGANIC CHEMISTRY
흥미로운 원소들의 원자 및 분자의 구조, 화학결합, 산과 염기, 산화환원 반응, 배위화학 등 미시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적인 무기화학 원리하고,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합성/특성과 물질의 현상에 대해 학습한다.
-
분자세포생물학(MOLECULAR & CELLULAR BIOLOGY)
생명현상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생물체의 최소단위인 세포의 기본적인 성질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는 학문 이다. DNA에 내재된 유전정보의 발현과 조절, 세포의 내, 외부의 자극에 의한 반응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 등을 다루게 된다.
-
기기분석(INSTRUMENTAL ANALYSIS)
분석화학을 기반으로 한 기기분석화학을 강의한다. 이 과정은 나노화학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기들인 XPS, UPS, TEM, SEM, STM, AFM, XRD, Mass, LC&GC, Potentiostat 등의 원리 및 방법론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분석 및 나노물질 특성 분석에 대해서도 다룬다.
-
유기소재공학(ORGANIC MATERIALS ENGINEERING)
대표적 유기 나노소재인 고분자에 대해 물성, 합성 및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에 대해 주로 배우고, 최근 관심받는 유기 나노소재인 그래핀, C60, 유기 반도체, 유/무기 하이브리드의 분자 구조, 특성을 배우고 이들 재료를 바탕으로 한 광전자 소자 응용, 바이오 응용, 센서 등 다양한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
레이저가공학(LASER MACHINING PROCESS)
현대 들어서 전통적인 가공법 보다는 비전통적인 가공 프로세스(혹은 특수가공공정)들이 여러 가지로 결합되어 첨단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광에너지원에 따라 발생하는 레이저 재료제거식 공정, 부가식 공정 및 성형식 공정을 분류하고, 이들의 장점만을 결합한 여러 가지 복합 하이브리드 레이저 가공법을 공부한다. 특히 하이브리드 가공공정의 하나인 2차원 및 3차원 레이저 프린팅 제조공정의 메카니즘과 응용사례를 공부한다.
-
광계측공학(OPTICAL MEASUREMENT & ENGINEERING)
본 과목에서는 기본적인 광학 지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측정 기술의 원리 및 개념을 교육한다. 또한, 레이저 광학, 선형 및 비선형 광학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나노세계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최신의 광학 이론과 그 응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광영상공학(OPTICAL IMAGING ENGINEERING)
광학과 기계전자공학을 기반으로 실제 생물학/의학분야에 적용가능한 영상시스템의 원리및 시스템 디자인에 대해서 배우고 직접 시스템 디자인을 실시한다.
-
디스플레이공학(INTRODUCTION TO DISPLAY ENGINEERING)
전기전자 소자, 반도체, 집적회로, 집적회로 공정 및 특성평가 등의 광전자소재의 응용을 위한 필수적인 기초 물성 및 집적화 기반 최신 응용방향을 강의한다.
-
자율주행및센서시스템(AUTONOMOUS VEHICLE SENSOR SYSTEMS)
본 과목에서는 첨단 산업 사회에 실제 적용되고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초정밀 시스템 및 기기를 리버스 엔지니어링 함으로써,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더불어 이와 같은 첨단 기기에 적용된 여러 기술의 기초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을 습득하고자 한다.
-
반도체양자현상(QUANTUM FEATURE OF SEMICONDUCTORS)
반도체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나노구조인 나노종이(2차원), 나노선(1차원) 나노입자(0차원) 속의양자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소자로서의 적용되는 방식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나노소재 기술이 첨단 반도체 양자기술로 응용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
스마트제조실험 (Smart Manufacturing Lab.)
융합 기계시스템 설계, 제작 및 성능 평가를 위한 디지털 트위닝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선형 및 비선형 가상 모델 제작 및 평가를 위한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을 학습함.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실제 프로그램 구현 실습을 통해 학습한 이론에 대한 검증 과정을 학습한다.
-
고체역학 (Solid Mechanics)
부재에 작용하는 인장, 압축, 굽힘 및 비틀림 하중에 관한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탄성범위 내에서 고찰하고, 각종 구조물에 대한 힘과 모우먼트의 평형법칙을 이해하도록 한다.
-
나노 Fabrication(I) (Nano Fabrication(I))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핵심공정인 Lithography Patterning 공정과 식각 공정에 대하여 강의한다. Photolithography, Nano Imprint Lithography, E-beam Lithography, X-ray Lithography, Dry Etching 및 Wet Etching의 기본 원리와 이론, 특징 및 응용분야에 대하여 소개한다.
-
나노Fabrication실험 (Nano Fabrication Lab.)
Sputtering, PECVD, Evaporation 등의 박막 증착 기술과 photolithography, dry/wet etching 등의 pattern 형성 기술을 조합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각종 광소자, 전자소자, MEMS 소자의 기본 구성요소인 3D 적층 구조를 제조하고 그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
전자회로실험 (Electronic Circuit Experiment)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사용법 숙지를 통해, 전자회로의 기본적인 소자의 동작특성 및 응용회로를 실험과 실습을 통해 다룬다.
-
박막공정 (Thin Film Technology)
진공공학의 기초, DC/RF 플라즈마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물리적 기상증착법과 화학적 기상증착법에 의한 박막 형성 기술의 원리, 박막 성장 기구, 박막의 구조 및 박막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신호및시스템 (Signals and Systems)
본 과목에서는 신호와 시스템의 기본적인 개념 및 수학적 모델을 배우고, Continuous-time, Discrete-time Fourier 급수와 Fourier 변환, Laplace 변환과 Z-변환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시간과 주파수영역에서의 신호와 시스템의 관계를 강의한다.
-
동역학 (Dynamics)
질점 운동의 표현 방법을 학습하고 뉴튼 법칙(힘과 가속도 관계), 일과 에너지 원리, 충격량과 운동량 원리 등 질점 및 질점계의 운동과 작용력의 관계를 다루고 응용한다. 이어서 강체 운동의 표현 방법을 학습하고 강체의 평면 운동과 작용력과의 관계에 관한 기본 원리를 다루고 응용한다.
-
스마트제어시스템(Smart Control System)
스마트제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제어이론에 적용되는 수학적 분석의 기초, 제어시스템 구조를 도시하는 방법, 물리적 시스템에 대한 모델링 기법, 시간영역에서의 시스템 응답을 분석하는 방법들에 대해 배우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제어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
종합설계(Ⅰ) (Capstone Design(Ⅰ))
나노분야의 특정과제를 선정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론적인 해석 및 설계, 제작, 평가를 통한 전반적인 공학과정을 학습한다.
-
기계진동학 (Mechanical Vibration)
기계의 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동역학적인 원리에 대해 학습함. 기계진동의 크기, 주파수, 주기, 감쇠, 공진 등을 포함한 기계시스템의 진동해석법을 학습함.
-
종합설계(Ⅱ) (Capstone Design (Ⅱ))
각 교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첨단 연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직접 참여하여 창의적 실험을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법을 배운다.
-
스마트제조공학 (Smart Manufacturing)
유한요소법은 탄성 또는 비탄성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거동해석을 비롯하여 유체유동과 열전달 해석, 전자기장 해석과 같은 넓은 분야의 해석과 설계에 있어 필수 수단이다. 에너지 원리에 의한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을 소개하고, 공학문제 해석에 유한요소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설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나노 Fabrication(Ⅱ) (Nano Fabrication(Ⅱ))
반도체 소자 제조핵심공정인 산화공정, 박막공정, 금속배선공정 및 불순물 도핑 공정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소개하고, 세부 공정기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강의한다.
-
반도체패키징 (Semiconductor Packaging)
반도체 Chip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고성능화하는 후공정기술인 패키징 기술의 종류와 특징, 패키징 소재 및 공정, 그리고 패키징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하여 강의한다.
-
기계시스템설계 (Mechanical system design)
CAD, 재료역학 등의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이 기계요소 및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론을 정립하고, 융복합기술을 적용한 설계능력을 함양함. 동력전달기구, 체결장치, 동력 축 이음장치 등의 부품설계와 정밀기계 시스템설계의 IOT 융합기술을 학습한다.
-
재료파손이론 (Failure theory of materials)
구조물의 결함 중에서 반복하중에 의한 균열의 안정성장과 이로 인한 파괴특성 등을 다루며, 재료의 항복과 파괴조건, 미시적, 거시적 파괴기구, 파괴인성과 피로파괴거동에 미치는 각종인자의 영향과 재료강도의 각종 현상에 대하여 학습한다.
-
진동론 (Theory of vibrations)
기계의 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동역학적인 원리에 대해 학습함. 기계진동의 크기, 주파수, 주기, 감쇠, 공진 등을 포함한 기계시스템의 진동해석법을 학습한다.
-
모빌리티센서 개론 (Introduction of mobility sensors)
자율운행과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위해 주위 환경을 효과적으로 인지하는 모빌리티용 센서에 대해 소개하고, 각 센서의 측정 메커니즘에 대해 소개한다.